주소창 URL에서 물음표(?)와 앰퍼샌드(&)의 의미

네이버 블로그 등등, 긴 URL을 보다 보면 물음표(?)와 앰퍼샌드(&)를 볼 수 있다.

URL 등의 링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각종 물음표와 앰퍼샌드가 난무하는 것을 볼 수도 있다.

Plaintext
https://www.metacode9.com/documentscom/ProList.metacode9?storyId=aaaa&TodTestPoint
=https%3B%2F%2Fstory.metacode9.com%2FStoryLayer.metacode9%3Fstoryid%3Dnoramarket"

퍼센트, 물음표 등등, 특수 문자 같기도 하고, 도대체 알아볼 수가 없다. 어떤 의미가 있는지 알아보자.

* 물음표, 앰퍼샌드의 의미

물음표, 앰퍼샌드등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 물음표(?)    : GET 변수쿼리의 시작. DB에서 데이터를 요청한다.
  • 등호(=)      : 값 입력. 쿼리할 때 파라미터 값을 입력시켜 준다.
  • 앰퍼샌드(&) : 쿼리할 문자열의 값
  • 퍼센트 문자( %XX ) : 특수 문자를 UTF-8 형식으로 변환시켜준 것이다. URL에서 URL로 사용할 수 없거나 왜곡의 여지가 있는 문자들을 UTF-8 형식으로 맞추어 전달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XX는 %와 16진수로 이루어진다.

이것을 바탕으로 예제를 설명해 보자.

다음과 같이 UTF-8로 되어 있는 문자열이 있다.

Plaintext
https%3B%2F%2Fstory.metacode9.com%2FStoryLayer.metacode9%3Fstoryid%3Dnoramarket

인코딩하면 다음과 같은 문자열이 된다.

Plaintext
https;//story.metacode9.com/StoryLayer.metacode9?storyid=noramarket

실제 URL에 적용되는 문자열은 아래 것이 되는 것이다. 그것을 컴퓨터가 알아볼 수 있는 언어인 UTF-8로 변환시켜준 것이다.

댓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