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바스크립트(JavaScript)를 공부하면서 기초 문법에 대해서 정리하고 있다. 자바스크립트는 스크립트 언어이다.
자바스크립트의 기초 문법에 대해서 간략히 알아보자.
역시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의 시작은 Hello, world다.
■ 시작
* Hello world 콘솔 출력
console.log('Hello world');
콘솔 창에 "Hello, world"라고 출력시킨다.
* 변수 만들기
변수는 코드 중에 변경이 가능한 변수가 있고, 한번 할당하면 변경이 불가능한 변수가 있다.
변하지 않는 변수 const
const name = 'Bus';
name의 내용인 Bus를 바꿀 수 없다.
변경 가능한 변수 let
let car = 'benz';
car = 'moning';
car는 let 자료형이므로, car의 내용을 바꿀 수 있다.
* 자료형
연산자 정의 | 설명 | 숫자값 변환 |
Boolean | 불린형(참, 거짓) | true이면 1, false면 0 |
Null | 빈값 | 0 |
Undefined | 정의되지 않은 형 | NaN |
Number | 숫자형 | 숫자 |
String | 문자형 | 값이 숫자면 숫자, 아니면 문자열 |
Object | 객체형 |
* 연산자
비교연산자 | >, <, <=, >=, !=, == |
비트연산자 | |, &, ^, ~ |
산술연산자 | -, +, *, /, % |
단항연산자 | (+) |
반응형
■ 팝업
* 알림 팝업창 출력
alert('안녕?');
* 팝업창으로 입력받기 - 내용
prompt('생일을 입력하세요. ');
* 팝업창으로 입력받기 - 확인 / 취소
confirm('승인 하시겠습니까?');
■ 조건문과 반복문
* 조건문 - if
참이면 실행, 아니면 다음 구문을 실행한다.
if(age>19 && name ){
console.log('환영합니다');
} else {
return false;
}
* 반복문 for
동일한 일을 반복한다.
for(let i=0; i<5; i++) {
console.log(i);
}
■ 함수와 객체
* 함수
function add(N1, N2) {
console.log(N1+N2);
}
* 객체
const user = {
name : 'jongho',
grade : 4,
}
■ 배열
* 배열 선언
const thismonth = ['Jan', 'Feb'];
* 배열에 추가 (마지막에 추가), 삭제 (마지막부터 삭제)
thismonth.push('Mar'); // 추가
thismonth.pop(); // 삭제
* 배열에 추가 (앞에 추가), 삭제 (앞부터 삭제)
thismonth.unshift('Mar'); // 앞에 추가
thismonth.shift(); // 맨 앞것 삭제
반응형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배치파일 명령어 setlocal 사용 방법 (0) | 2022.03.24 |
---|---|
[윈도우] 배치파일 문법 setlocal EnableDelayedExpansion 사용하기 (0) | 2022.03.24 |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개발하기. g? G? (0) | 2022.02.28 |
S-레코드 포맷 : Motorola S-record file format (0) | 2022.02.23 |
시리얼 통신 - VScode로 Serial log 보기 (Serial Port Helper) (0) | 2022.02.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