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IT와 인터넷15

[진수] 16진수를 10진수로 바꾸는 방법 16진수를 10진수로 바꾸기 위해서는 16진수의 각 자릿수에 16의 배수를 곱해서 계산한다. 16진수는 보통 2진수로 변환해서 계산하면 더 쉽다. 16진수를 10진수로 함께 바꾸어 보자. * 10진수와 16진수 2진수는 2의 배수로 이루어진 수체계로, 한자리가 0, 1의 2개의 수로 구성된다. 10진수는 10의 배수로 이루어진 수체계로, 한자리의 수가 0 ~ 9까지 10개로 구성된다. 16진수는 한자리의 수가 0 ~ 15까지 16개로 이루어진 수로 구성된다. 그런데 16진수는 10 이상을 표현해야 하기 때문에, 10부터는 A, B, C, D, E, F로 표시한다. A는 10, B는 11, C는 12, D는 13, E는 14, F는 15가 된다. 그러므로 16진수는 0 ~ F까지 15개의 수로 이루어진 수.. 2022. 4. 19.
[윈도우] 시리얼포트(Serial Port) 를 확인하는 3가지 방법 시리얼 포트(Serial Port)는 컴퓨터와 다른 기기간에 직렬통신을 할때 사용되는데, 통신프로그램을 사용할 때 시리얼포트를 확인해야 어떤 경로로 통신하는지 알아서 통신 프로그램을 실행할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윈도우10에서 시리얼 포트(Serial Port)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윈도우의 장치 관리자로 들어가서 COMx포트를 확인하거나 커맨드(cmd)창 또는 파워쉘(Powershell)창에서 명령어를 입력해서 확인할 수 있다. 윈도우에서 시리얼 포트를 확인하는 3가지 방법에 대해서 좀더 상세히 알아보자. * 윈도우의 시리얼 포트 시리얼 포트는 컴퓨터와 외부 장치 간에 많이 사용하는 COM이라는 포트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방법이다. 기본적으로 COM1, COM2, COM3 등 COMx로 시작하게 된다. .. 2022. 4. 11.
[윈도우] 장치관리자를 여는 5가지 방법 윈도우10으로 오면서 장치관리자 메뉴가 이전과 달라져서 찾기가 어려워졌다. 특히 장치관리자를 통해서 자주 시스템을 체크하거나 시리얼 포트(Serial Port)를 자주 찾는 사람에게는 난감한 부분이다. 그러나 확인해본 결과, 윈도우10에서 장치관리자에 들어가는 방법은 어려워진 것이 아니라 오히려 더 쉬워졌다. * 장치관리자 장치관리자는 윈도우의 하드웨어적인 연결 상태를 나타낸다. 내 컴퓨터에 어떠한 장치가 연결되어 있고, 어떤 드라이버와 연결되어 있는지 또는 잘못 연결된 장치는 없는지 표로 보여준다. 이러한 장치관리자를 열기 위한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있다. 여러 루트로 장치관리자를 열 수 있으니 모두 확인해 보면 좋겠지만, 개인적으로 5번이 가장 쉬워 보인다. * 장치관리자를 찾는 5가지 방법.. 2022. 4. 10.
UTF-8 형식과 유니코드 UTF-8은 유니코드를 위한 가변 길이 문자 인코딩(변환) 방식이다. 유니코드를 위한 문자 변환 방식에는 UTF-8 이외에도 UTF-16, UTF-32등 여러 가지가 있다. 이렇듯 UTF-8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문자열 인코딩과 유니코드를 먼저 알아야 한다. * 문자열 인코딩 (Character Encoding) 컴퓨터를 사용하는 디지털세계는 모든 것이 0과 1의 디지털 숫자로 변환될 수 있어야 한다. 세계에는 여러 가지 언어와 문자가 있는데 각자 컴퓨터에 표현하는 체계가 다르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가 사용하는 EUC-KR은 한글을 한 바이트(8비트)로 표현할 수 있다. 중국, 일본 등 다른 나라도 이와 유사한 문자 표현 방식이 있다. 이러한 문자 표현을 서로 다른 컴퓨터에서 사용하게 되면 인식이 되지 않.. 2022. 4.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