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T와 인터넷15 ASCII (아스키 코드표) 정리 ASCII (아스키코드)는 컴퓨터에서 많이 사용하는 문자 집합을 1바이트로 표현한 문자열 집합이다. 주로 영문 대문자, 소문자와 숫자, 몇몇 특수문자로 구성되어 있다. * 아스키코드를 사용하는 이유 컴퓨터는 0과 1밖에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에 사람이 사용하는 언어를 컴퓨터의 언어로 바꿔 주어야 한다. 특히 초창기에는 컴퓨터의 저장 성능이나 인터넷 성능이 좋지 않았기 때문에 최소한의 바이트로 문자를 표현하는 것이 필요했다. 이러한 이유로 아스키 문자열이 생성되었다. 아스키코드는 0 ~ 127까지 128개의 숫자로 이루어져 있다. 가끔 128 ~ 부터의 숫자에 대응되는 코드도 표시되는데, 이는 아스키코드는 아니며, 각자의 컴퓨터 표현 언어에 따라 다르게 표시된다. * 아스키코드표(ASCII table) 다음.. 2022. 4. 8. 갤럭시S22 울트라와 GOS 논란 삼성의 갤럭시 S22에 적용된 GOS 기능이 큰 논란거리이다. 갤럭시 S22 울트라의 GOS 논란을 정리해 보자. * GOS가 뭔가요? GOS는 Game Optimizing Service의 약자로, 게임을 할 때, 게임이 고사양일 경우 과도한 발열로 인한 문제를 막기 위해서 휴대폰의 성능을 강제로 낮추는 기능이다. 내 폰의 그래픽카드나 화면 사이즈 등에 맞추어 휴대폰이 최상의 상태로 동작하게 도와준다. 이러한 GOS 기능은 이번 논란이 일기 전까지는 일반인은 잘 모르는 기능이었지만, 사실 2016년에 만들어진 것으로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이었지만 점점 사용자가 선택하지 못하게 되어 가고 있었다. 이 GOS기능은 게임 등 고사양의 프로그램이 실행될 때, 클럭과 해상도를 강제로 낮추어 과도한 발열을 제어하는 .. 2022. 3. 12. 배치파일(bat file) 만들기 배치파일은 윈도우의 도스 모드에서 사용하는 명령어들로 구성되어 있는 스크립트(명령어 집합) 파일이다. 자주 사용하는 도스의 명령어들을 하나씩 사용하기 어려울 때, 명령을 정해서 다른 사람들에게 전달할 때 스크립트 형식으로 파일로 만들어서 한 번에 실행시키는 용도로 사용된다. 확장자는 bat이다. * 배치파일의 실행 배치파일은 텍스트 파일로 저장된 파일로써, 도스의 cmd.exe (COMMAND.COM)에서 실행한다. cmd.exe화면은 윈도우 하단의 검색창에서 cmd를 치거나, 키보드의 "윈도우키 + R"을 눌러서 나오는 화면에 cmd를 쳐서 들어간다. 또는 윈도우의 쉘 스크립트에서 cmd를 치면 커맨드 모드로 진입할 수 있다. 배치파일은 저장할 위치를 선택 한 후, 간단히 메모장이나 VSCODE 등의 .. 2022. 3. 5. 인텔 Hex (Intel-Hex) file format Intel-Hex는 바이너리 파일을 전송하기 위한 파일 포맷으로, 16진수 ASCII (아스키) 코드로 되어 있다. 보통 Flash memory, EEPROM 등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 S-Record와 함께 가장 많이 사용된다. S-레코드 포맷 : Motorola S-record file format S-Record는 모토로라가 1970년대 개발한 파일 포맷으로, 16진수 ASCII (아스키) 코드로 되어 있다. 보통 Flash memory, EEPROM 등에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 Intel-Hex 포맷과 함께 많이 사용된다. 이 파일 포 www.metacode9.com 이 파일 포맷은 Intex hex format으로 불리며, 확장자는 HEX다. 보기 쉽고 간단하게 되어 있어 많이 이용되고 있.. 2022. 3. 2.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