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4 JTAG과 SWD의 차이와 장단점 디지털 장치들을 디버깅할 때 많이 사용하는 JTAG(Joint Test Action Group)과 SWD(Serial Wire Debug)에 대해서 알아보자. MCU나 CPU의 장치를 디버깅할 때 많이 사용한다. 이러한 JTAG이나 SWD에 연결하여 디버깅을 하기 위해서는 Debugger 또는 Emulator가 필요하다. * JTAG과 SWD 소개 JTAG과 SWD는 디바이스 장치의 디버깅용 인터페이스 이다. JTAG interface는 IEEE-1149.1-2001에 표준으로 정의되어 있다. JTAG과 SWD는 모두 디지털 디바이스의 디버깅을 위한 효과적인 인터페이스이다. 핀 수, 지원 CPU, 고급 기능, SWO 핀 등 다양한 요소를 고려하여 적합한 인터페이스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JTAG은 198.. 2023. 10. 18. 파워쉘(power shell) 에서 윈도우 명령 (cmd) 실행하기 윈도우의 버전이 올라가면서, 기존에 사용하던 기능을 사용하지 못하게 되거나, 사용법이 변경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내 생각에 파워쉘도 그중에 하나인 것 같다. 예전에는 윈도우 프롬프트 명령창을 주로 실행하여 윈도우 명령들을 사용하곤 했는데, 파워쉘로 변경되면서 영 익숙하지가 않다. * 파워쉘이란 (Power shell) 윈도우에서는 파워쉘을 명령줄 셸, 스크립팅 언어 및 구성 관리 프레임워크로 구성된 플랫폼 간 작업 자동화 솔루션이라고 한다. 쉽게 말해서 이것저것 많이 된다고 이해하면 된다. 전문가들에게는 기능이 많으면 좋다. 하지만 사용하지 못하면 필요가 없다. 예전이 이미 잘 사용하던 기능이 내가 사용하지 않을 기능들로 인해 더 복잡해지면 나에게는 별로 도움이 되지 않는다. * 파워쉘로 전환된 윈.. 2023. 10. 5. 가속도계(Accelerometer)와 방향 계산 가속도센서를 이용하여 방향을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6축 센서를 사용하는 것은 여러 가지 복잡한 계산을 필요로 한다. accelerometer와 gyroscope를 통해서 얻은 값을 가공하여 다양한 값을 얻어 낼 수 있다면, 좀 더 특별한 성능의 제품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우리는 가속도계를 이용하여 물체의 방향을 구하려고 한다. z축의 가속도는 중력 가속도이다. x축과 y축의 가속도는 물체의 기울어짐 방향을 나타낸다. x축과 y축의 가속도를 이용하여 물체의 방향을 구할 수 있다. * 가속도 크기 계산 가속도계를 사용하여 방향벡터 값을 계산하려면 먼저 가속도계의 세 축(x, y, z)을 따라 가속도 값을 측정해야 한다. 이러한 값은 중력 가속도( 9.8m/s² ) 단위로 읽을 수 있으.. 2023. 9. 8. [파이썬] 파이썬으로 메트로놈 구현하기 파이썬으로 음악 관련 프로그램을 공부해 보고 있다. 그중 하나로 메트로놈 제작을 스터디해 보았다. 메트로놈은 모두 알고 있듯이, 악기를 연주할 때 박자를 맞추는데 도움을 주는 기계이다. 일정한 리듬을 생성하여 연주자가 그 리즘에 맞춰 연주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피아노 학원에서 많이 만날 수 있는 친구이다. 이러한 메트로놈을 파이썬으로 구현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 ChatGPT 이용 파이썬을 이용한 메트로놈 일단 chatGPT를 통해서 간단히 구현 코드를 받아 실행시켜 보았다. 자세히 물어볼 수록 원하는 정답을 더 잘 얻을 수 있다. 생각보다 잘 작동하는 것을 알수 있었다. 컴퓨터로 주파수를 발생시켜서 소리로 출력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 메트로놈 실행 파이썬 코드 import time import .. 2023. 7. 15. 이전 1 2 3 4 5 ··· 1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