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4 [C/C++][코딩연습] 2개의 실수를 입력 받은 후, 2개의 실수 사이의 정수를 출력하시오. 2개의 실수를 입력받는다. 그다음 입력받은 2개의 실수 사이의 정수를 출력하는 코드를 연습해 보자. 수에는 실수와 정수가 있다. C언어에서 정수에 대한 변수는 short, int 등의 변수에 저장하여 사용하며, 실수는 float와 double 변수를 사용한다. 이러한 자료형은 컴퓨터의 운영체제(OS)나 시스템에 따라서 달라지기도 하므로 복잡한 프로그램에서는 주의해야 한다. * 2개의 실수를 입력받아 정수 출력 2개의 실수를 입력받을 때에는 float이나 double을 사용해야 한다. float는 4 bytes의 범위를 지원하며, double은 8 bytes의 범위의 수를 지원한다. float의 범위가 이미 1.2E-38 ~ 3.4E+38 이므로, 일반 계산에서는 float를 사용해도 충분하다. 또한 정수.. 2022. 4. 16. [vscode] 키보드 단축키(shortcut) 바로가기 vscode의 키보드 단축키는 바로가기 키 열기 메뉴를 통해서 알아볼 수 있다. 단축키는 Ctrl + K와 Ctrl + S를 함께 누르면 된다. 바로가기 키 열기(Open Keyboard Shortcuts) 메뉴를 통해서 vscode의 단축키를 수정할 수 있다. 점점 사용자가 늘어나고 있는 vscode (visual studio code) 인 만큼 기능도 다양하게 있다. 자주 사용하는 만큼 단축키를 아는 것은 필수 사항이므로, 잘 알고 있어야겠다. * vscode 단축키 바로가기 vscode(visual studio code)의 키보드 단축키(keyboard shortcuts) 바로가기는 Ctrl K + Ctrl S로 바로 갈 수 있다. 메뉴로 가려면, 파일(F) -> 기본 설정 -> 바로가기 키로 갈 .. 2022. 4. 14. [윈도우] 시리얼포트(Serial Port) 를 확인하는 3가지 방법 시리얼 포트(Serial Port)는 컴퓨터와 다른 기기간에 직렬통신을 할때 사용되는데, 통신프로그램을 사용할 때 시리얼포트를 확인해야 어떤 경로로 통신하는지 알아서 통신 프로그램을 실행할수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윈도우10에서 시리얼 포트(Serial Port)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윈도우의 장치 관리자로 들어가서 COMx포트를 확인하거나 커맨드(cmd)창 또는 파워쉘(Powershell)창에서 명령어를 입력해서 확인할 수 있다. 윈도우에서 시리얼 포트를 확인하는 3가지 방법에 대해서 좀더 상세히 알아보자. * 윈도우의 시리얼 포트 시리얼 포트는 컴퓨터와 외부 장치 간에 많이 사용하는 COM이라는 포트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방법이다. 기본적으로 COM1, COM2, COM3 등 COMx로 시작하게 된다. .. 2022. 4. 11. [윈도우] 장치관리자를 여는 5가지 방법 윈도우10으로 오면서 장치관리자 메뉴가 이전과 달라져서 찾기가 어려워졌다. 특히 장치관리자를 통해서 자주 시스템을 체크하거나 시리얼 포트(Serial Port)를 자주 찾는 사람에게는 난감한 부분이다. 그러나 확인해본 결과, 윈도우10에서 장치관리자에 들어가는 방법은 어려워진 것이 아니라 오히려 더 쉬워졌다. * 장치관리자 장치관리자는 윈도우의 하드웨어적인 연결 상태를 나타낸다. 내 컴퓨터에 어떠한 장치가 연결되어 있고, 어떤 드라이버와 연결되어 있는지 또는 잘못 연결된 장치는 없는지 표로 보여준다. 이러한 장치관리자를 열기 위한 방법으로 다음과 같은 방법들이 있다. 여러 루트로 장치관리자를 열 수 있으니 모두 확인해 보면 좋겠지만, 개인적으로 5번이 가장 쉬워 보인다. * 장치관리자를 찾는 5가지 방법.. 2022. 4. 10. 이전 1 ··· 3 4 5 6 7 8 9 ··· 11 다음 반응형